전체 글 690

[기고] 데이터 중복 메커니즘과 활용

1. 들어가며 얼마 전 오픈한 바 있는 모 차세대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의 후반부에 데이터 베이스 성능 문제 해소 방안으로서 '데이터 중복'이 이슈화 된 적이 있었다. 성능 문제들 중에서 데이터 중복 외에는 해소 방법이 없는 경우가 있다. 데이터 중복을 허용하자니 해당 테이블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응용 프로그램 수정과 데이터를 다시 전환해야 하는 부담이 따랐으므로 관련 담당자들 간 갈등으로 비화되는 상황을 맞이하기도 했다. 앞으로 두 차례에 걸쳐 데이터 중복이 왜 필요하고 데이터 모델러들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데이터의 구조적 의미 또는 업무적 의미에 의해 데이터 중복이 제한되는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데이터 중복의 필요성과 대응 최근에 필자는 한 정보시스템 구축 ..

[뉴스 클리핑] 2017년 5월 3주차 한 주간의 뉴스 클리핑

- 2017.05. 3주차 - 랜섬웨어 대란 後…'보안 패치 관리' 경종 [아이뉴스24]지구촌을 강타한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사태를 계기로 보안 패치 관리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전세계 삼킨 랜섬웨어, 가해자·피해자·방조자 “누구를 탓해야” [디지털데일리]지난 며칠간 전세계를 흔들었던 워너크라이 랜섬웨어가 소강국면을 맞았다. 급한 불은 꺼졌으나, 책임소지에 대한 부분은 아직 해결되지 못했다. 랜섬웨어, 왜 안드로이드엔 없을까 [ZDNet Korea]전 세계가 때아닌 '인질 소동'을 겪었다. 150개국에서 30만 대 가량의 컴퓨터가 워너크라이 랜섬웨어에 감염되는 피해를 입었다. 상용 소프트웨어 67% 오픈소스 보안 ‘취약’ [전자신문]블랙덕소프트웨어(CEO 루 쉬플리, Lou Shipley)가..

[현장 스케치] SK브로드밴드 “Data로 일하기 기본기 과정" 전사 교육 현장!

안녕하세요! 데이터로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 비투엔입니다. ^^ 비투엔에서 SK브로드밴드 전사원을 교육하는 과정이 경기도 안성에 있는 SK브로드밴드인재개발원에서 진행되고 있어 비투엔 현장 스케치가 따라가 봤습니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SK브로드밴드 "Data로 일하기 기본기 과정"으로 SK브로드밴드 모든 직원분들이 필수로 들어야 하는 과정이라고 합니다. SK브로드밴드의 모든 직원분들이 수강해야 하는 과정인 만큼 교육기간도 참 긴데요~ 4월 초부터 6월 말까지 1박 2일간 총 42차수의 일정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0^ 본 교육에서 비투엔은 조광원 대표님과 유수훈 이사님이 참여하여SK브로드밴드 전사원이 Data와 친숙해지고 Data를 활용하여 일할 수 있는 기본기를 교육하고 계신데요~ㅎ 조광원 대표님과 ..

[뉴스 클리핑] 2017년 5월 2주차 한 주간의 뉴스 클리핑

- 2017.05. 2주차 - [新정부 출범] 정부주도 ICT전략 …미래부 힘받나 [아이뉴스24]문재인 대통령은 그간 미래 먹거리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육성 및 성장전략을 강조해왔다. [취재수첩] 새 대통령에게 거는 ICT 업계의 기대 [디지털데일리]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했다. 통합과 공존이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일성이다. 제19대 대한민국 대통령은 사상 첫 보궐선거로 당선된 대통령이다. 전임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됐다. 사회 경제 외교 등 대한민국이 처한 국내외 상황은 녹록치 않다. 후보로써 문 대통령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약속을 했다. 문 대통령을 향한 기대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실망보다 크다. 정보통신기술(ICT)업계도 마찬가지다. '공공와이파이 2.0..

[기고] 빅데이터와 차세대 데이터 웨어하우스 하편

▶ 빅데이터와 차세대 데이터 웨어하우스(상) - 비즈니스 환경 변화와 DW의 적응 몸부림 ▶ 빅데이터와 차세대 데이터 웨어하우스 (하) - 하둡 기반의 DW 참조 아키텍처와 활용 사례 지난 회에서 전통적인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모습과 국내외 환경 간의 차이점, 한계점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번 회에서는 다른 측면에서 변화하고 있는 오픈소스 진영의 기술과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한번 살펴 보자. 하둡은 구글의 검색 서비스와 관련되어 등장했다. 검색 서비스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손쉽게 값싼 저장 매체에 분산/관리하기 위한 용도로 GFS(Google File System)라든가 맵리듀스 같은 이론이 발표됐고, 2004년에 더그 커팅이 Nutch(너치)에 DFS와 맵리듀스를 실제 적용하면서 하둡이 탄생했다고..